1992
동천 하류(순천만 상류)정비사업 계획 수립(‘92년) |
1996
최초 순천만 종합 생태조사 실시(멸종희귀종 조류 다수 관찰) |
1997
순천만 골재채취 반대 위한 제1회 ‘순천만 갈대제’ 개최 |
1998
순천만 골재채취 허가 취소 및 민관학 협의체 구성 |
2003
순천만 갯벌 습지보호지역 지정(28㎢) |
2005 ~ 현재
철새 서식지 조성 위한 생물다양성관리계약사업 실시 |
2006
순천시 주최 순천만 갈대축제 개최 시작(제9회) |
국내 연안습지 최초 순천만 람사르습지 등록(28㎢, 람사르사무국) |
순천만을 중심으로 한 생태관광 일원화 체계 구축 |
2007
제1기 순천만자연생태위원회 구성 |
2008
제1차 순천만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중장기 계획 수립 |
문화재보호구역(명승 제41호) 지정(3.0㎢, 문화재청) |
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순천만 가꾸기 : 고엽갈대 제거 등 |
낮에는 새보고, 밤에는 별보는 평지 「순천만 천문대」 건립 |
2009
순천만 습지보호지역 인근 생태계보호지역 지정(7.738㎢) |
순천만 갯벌 인근 음식점 3개소 등 환경 저해시설 5개소 이전 |
순천만 인근 식당, 매점 등 주거시설 9개소 이전 |
순천만 유입수계(동천) 양안 농경지 12.4㏊ 습지복원 |
순천만 철새보호를 위한 전신주 282개 철거 |
순천만 인근 나대지 16.1㏊ 매입 및 습지복원 |
2009~현재
흑두루미 희망농업단지 운영(59㏊, 순천만영농단) |
2012
순천만 해룡면 농주리 일원 11㏊ 갯벌복원(해양수산부) |
2013
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 / 순천만 에코벨트 구축 |
WWT CEO 마틴 스프레이 순천만자연생태위원회 자문위원 위촉 |
2014
2015
순천만 생태복원 대상지 환경가치 조사, 수질 정기조사 실시 |
순천만자연생태공원 명칭 ‘순천만습지’로 변경 |
동천하구 습지보호지역 지정 (5.39㎢, 환경부) |
2016
제2차 순천만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중장기 계획 수립 |
제1기 순천만습지위원회 구성 및 위촉 |
동천하구 람사르습지 등록(5.39㎢, 람사르사무국) |
동천하구 습지보호 관리계획 수립(영산강유역환경청) |
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 유치 <호남권 최초 국제기구> |
동천하구 토지 보상 실시(13.7억 / 전액 국비) |
동천하구 훼손지 복원사업 추진(8.5억 / 습지복원,간이탐조대) |
산지습지 릴리리뻔데기 습지보호지역 발굴 및 보호지역 건의 |
순천만 폐염전(장산) 갯벌복원사업 실시(3개년 42㏊ 70억) |
동천하구 토지 보상 실시(5억 / 전액 국비) |
2017
순천만자연생태연구소 개관 |
동천하구 훼손지복원사업비 증액(8.5억 → 50억) |
습지복원(18억), 탐조대(2.5억), 무논(5.5억), 관찰데크(24억) |
산지습지 릴리리뻔데기 4계절 정밀조사 실시(국립습지센터) |
순천만자연생태연구소, 생물자원보전시설 등록(환경부 17호) |
2018
명칭 : 순천 생물권보전지역(Suncheon Biosphere Reserve) |
범위 : 순천시 전역, 93,840㏊(육상 91,040㏊, 해상 2,800㏊) |
용도구역
- 핵심구역(9,368㏊) : 순천만, 동천하구 국가습지보호지역, 조계산도립공원
- 완충구역(20,985㏊) : 주암호 등 핵심구역을 둘러싼 하천, 농경지, 산림 등
- 협력구역(63,487㏊) : 핵심 및 완충구역을 제외한 도심을 포함한 공간
람사르 습지도시 인증
- 명칭 : 순천 람사르 습지도시
- 범위 : 순천만 인근 도사동, 별량면, 해룡면 일원(3,470㏊, 11개 법정마을)
(별량) 학산, 무풍, 마산, 구룡 (해룡) 선학, 농주, 상내 (도사) 교량, 대대, 안풍, 인월
2020
순천만 세계자연유산 등재 추진
명칭 : 한국의 갯벌(Getbol, Korean Tidal Flat) |
위치 : 순천만을 포함한 대한민국 서남해안 갯벌(순천, 보성, 신안, 고창, 서천) |
규모 : 1,293.46㎢(순천만 28㎢) |
2021
UNESCO 세계자연유산 등재